시대가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식품들이 나옵니다.
하지만 그만큼 식품들에 장난을 치는 곳도 나오게되는데,
신선하고 안전하게 음식을 먹기위하여 나라에서 인증하는 마크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정확히 무엇때문에 마크가 있는지 알아야겠죠?!
지금부터 식품 인증과 관련된 마크들을 살펴보겠습니다!
1. 식품안전관리인증마크 (HACCP)
식품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식품의 원재료부터 제조, 가공, 유통, 조리 단계까지
소비자가 섭취학 직전의 모든 과정을 밝히고 관리하기 위하여 중요관리점을 정해
식품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위생관리체계입니다.
대표적인 음식으로 여러가지가 있는데 많이들 소비하는 대표적인 음식을 적어보았습니다.
- 냉동 수산식품
- 빙과류
- 과자, 사탕, 초콜렛 등
- 즉석식품 등
2. 우수 의약품 및 식품 안전처 마크
품질이 보증된 제품들을 제조 및 품질관리를 지켜야 할 사항을
지키고 있는지 확인하는 인증표시입니다.
제조 업소가 품질이 우수한 제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작업관리와 위생관리로
특정 기준의 제품 품질을 보장 할 수 있는 생산체계를 확립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대표적인 제품들로는
- 의료기기
- 의약품
- 화장품
- 건강기능식품
- 한약재 등
3. 한국산업표준인증 (KS)
농산물, 수산물, 축산물 등 가공식품에 부여하는 인증마크로 케이스마크라고도 불립니다.
식품위생법 혹은 축산물위생관리법에 따라 식품 공장심사와 제품심사로 구분하여
일정 수준의 품질조건을 충족할 경우 부여되는 마크입니다.
대표적인 대상은
- 마가린
- 설탕
- 혼합음료 등의 가공식품
4. 어린이기호식품
안전, 영양, 성분과 관련하여 기준이 충족되고 제조, 가공, 유통, 판매를 권장하기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정한 기준에 적합할 경우 품질인증을 주는 제도입니다.
품질인증을 받은 어린이 기호식품은 용기 및 포장 등에 품질인증식품표시를 할 수 있어
확인해보시고 소비하시길 바랍니다.
대표적인 제품들
- 아이스크림
- 가공유
- 발효유
- 유산균음료
- 과자, 사탕, 빵 등
5. 농림수산식품부 인증마크
농산물의 생산부터 유통까지 각 단계에서 농약 등 위해요소를 관리하기 위한 인증제도입니다.
다양한 식품관련 사고원인에 대응하여 농산물의 생산부터 수호가 후 포장단계까지 관리하여
농산물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데요, 농약이나 중금속 및 유해요소를 관리하여
소비자에게 안전한 농산물을 공급하는데 목적을 두고있습니다.
6. FD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미국 식품 의약국을 말하는데, 미국 보건 후생성(DHHS)의 산하기관으로
미국 내에서 생산되는 식품, 의약품, 화장품 등 수입품과 수출품의 효능과 안전성을
관리한는 곳입니다.
순도, 강도, 안전성, 효능에 대한 기준을 충족해야만 시판이 가능하며 새로운 의약품은
동물실험을 거친 후 인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인증마크를 다뤄봤습니다! 인증마크가 식품외에도 다양하게 있지만
오늘은 안전한 먹거리를 위하여 식품과 관련된 인증마크들을 가져왔어요!
저도 처음보는 것들도 있었기 때문에 공부도 되었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년 6월 출시 될 청년도약계좌의 모든 것 (목돈 마련하기!) (2) | 2023.03.14 |
---|---|
결산 = 지출증빙, 경비등의 송금명세서 작성대상 (0) | 2023.03.07 |
원천징수영수증 발급 방법 = 종전근무지, 중도입사자, 퇴사자 (0) | 2023.02.14 |
난소낭종 (물혹) 원인, 종류, 증상 (0) | 2023.02.08 |
법인결산 = 개인사업자, 법인사업자 준비서류 (0) | 2023.02.03 |